Pa와 Pb를 두 모집단의 모비율이라고 했을 때,
두 모집단 비율의 차이는 Pa-Pb이다.
H0 : Pa-Pb=0, 즉 두 모집단의 비율차이가 없다는 것이 귀무가설 H1 : Pa-Pb!=0, 두 모집단의 비율차이가 있다 => 양측검정 |
이때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기댓값과 분산은 각각 표본비율의 차의 평균, 표본비율의 차의 분산과 같다.
Z표준화하여 검정통계량을 구한다면
***공통 비율을 이용한 가설검정
H0 : Pa-Pb=0, 즉 두 모집단의 비율차이가 없다는 것이 귀무가설
H1 : Pa-Pb!=0, 두 모집단의 비율차이가 있다 => 양측검정
이때, 공통비율 Pab를 이용한다.
Pab = (A의 표본수*A의 비율)+(B의 표본수*B의 비율) / 전체 표본 수
이때의 검정통계량은
즉 이 검정통계량 계산을 통해 나온 값이 기각역에 해당한다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H0을 채택한다.
'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통계] 비모수 통계 (0) | 2023.07.16 |
---|---|
[통계] 1종 오류와 p-value (0) | 2023.06.09 |
[통계] 대응표본과 독립표본 (0) | 2023.06.05 |
[통계] 균등분포, 감마분포, 지수분포 (0) | 2023.06.04 |
[통계] 포아송분포, 기하분포, 음이항분포 (3) | 2023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