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연속확률분포]
균등분포 : 모든 확률변수에 대해 균일한 확률 U(a,b)
감마분포 : 이벤트 n개가 발생할 때까지의 대기시간 G(a,b)
지수분포 : 이벤트 1개가 발생할 떄까지의 대기시간 Exp(θ)
1. 균등분포
1) 균등분포 : U(a,b)으로 표현
2) 균등분포의 평균 E(X) = a+b/2, 분산 Var(X)=(b-a)^2/12
예제 1) 어떤 사람이 9시와 10시 사이에 정류장에 도착한다. 이때 버스는 20분 간격으로 온다. 이 사람이 10분 안에 버스를 탈 확률을 구하라.
풀이 : 확률밀도함수 => 1/60
∫(10,20)1/60 dx + ∫(30,40)1/60 dx +∫(50, 60)1/60 dx = 30/60 = 1/2
2. 감마분포
1) 감마분포 : G(a, b)로 표현
ex) 이벤트 여럿이 발생할 때까지의 발생 시간 => 이벤트가 하나이면 지수분포
2) 감마분포의 확률밀도함수
3) 감마분포의 평균 E(X) = ab, 분산 Var(X) = ab^2
3. 지수분포
1) 지수분포 : Exp(θ)로 표현
ex) 어떤 부품이나 시스템이 처음으로 고장날 시간.
2) 지수분포의 확률밀도함수
3) 지수분포의 평균 E(X)=θ, 분산 Var(X)=θ^2
예제 1) 어떤 장난감의 수명이 평균 300시간인 지수분포를 따른다. 이 부품이 200시간 동안 작동했다. 앞으로 300시간 더 작동할 확률을 구하라.
풀이 : Exp(300) 인 지수분포 ---> f(x) = 1/300 * e^(-x/300)
f(300) = ∫(300, ∞) f(x) dx = e^-1
=> 지수분포의 무기억성 P(X>a+b l X>b) = P(X>a)
++6/6 추가
***포아송 분포<->감마분포
포아송 분포는 이산형 확률분포이고 감마분포는 연속형 확률분포
공통점 : 시간당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분포
차이점 : 포아송분포 확률변수 X=단위 시간당 이벤트 발생횟수, 감마분포의 확률변수 X=특정 이벤트가 alpha번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
***감마분포<->지수분포
공통점 : 시간당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분포
차이점 : 감마분포에서 alpha=1인 경우 => 지수분포, 이때 theta=1/lamda는 이벤트 간의 평균 시간 간격.
'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통계] 비모수 통계 (0) | 2023.07.16 |
---|---|
[통계] 1종 오류와 p-value (0) | 2023.06.09 |
[통계] 비율차이에 대한 가설검정 (0) | 2023.06.06 |
[통계] 대응표본과 독립표본 (0) | 2023.06.05 |
[통계] 포아송분포, 기하분포, 음이항분포 (3) | 2023.06.04 |